그리스 미술은 선사시대의 크레타, 미케네의 미술도 포함하지만 보통은 그 이후의 아르카이크 시기부터 헬레니즘까지의 미술을 지칭한다. 그리스 미술은 매우 조소적이고 웅장하지만 에게해 미술은 극명히 회화적, 공예적이어서 기념이 될만한 조각은 거의 남아 있는게 없다. 원시시대의 그리스 조각도 다른 원시의 민족처럼, 재물 숭재의 시대를 거쳐 점차 조각 본래의 모양을 갖춰 온 것으로 보인다. 초기 시대에 있어 최초의 조각상인 크소아논은 신상으로서 신전이나 성지에 보존되어 있었다고 전해진다. 이는 나무를 잘라서 소박한 조형을 시도한 것이다. 양식은 극히 경직된 기하학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곧이어 목조 신상이 석상으로 바뀌고 대형의 크기로 변형되었다.
초기의 조각은 대부분이 종교적 목적이었고 신전 본당이나 성지에 세워진 것들이었다. 신상, 영웅상, 봉남상이 대부분이다. 비종교적인 상으서는 봉납자 자신의 상, 대회에서의 승자가의 상이나, 의인의 상 등이 있었으나, 대부분 신에게 바치기 위해 성지에 놓여진 것일 뿐, 종교적 목적과 어느정도는 일치한다.
조각
기원전 10세기부터 기원전 8세기까지 고대에는 대상을 기하학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유행하였는데 기원전 10세기~9세기에 걸쳐 성립된 폴리스는 6세기까지 발전을 거듭하며 지중해 주변 지역에 식민지를 늘려나가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이집트와 오리엔트를 통해 대리석을 제작하는 방식을 습득하고 아르카이크기에 진입한다. 페르시아 전쟁에서 승리하고 지중해의 패권을 장악한 아테네는 5세기 후반부터 이상미를 추구하는 고전기에 접어들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방 원정은 헬레니즘 시대의 격정적이고 흥분된 특성으로 이어졌다.
건축
그리스 시대의 건축하면 신전을 빼놓을 수 없는데, 그리스 건축의 대표적인 특색과 아름다움이 극명히 나타나 있는 건축물이다. 그리스 신전의 원형이라 하면 메가론이라 불리는 미케네 시대 주택에서 발전한 것이며, 기독교 교회당에서는 내부의 장식이 중요하게 생각되었다면 그리스 신전은 신상을 안치하고 보물 등을 저장하기 위한 집이었다. 신자들이 모여 제식을 하는 장소는 아니어서 그리스 신전의 주로 외부를 꾸미고 형성하는 데에 주력하였다.
초기에는 비례나 형식이 각각이었으나, 기원적 6세기에는 엄격하고 계산적인 정확한 수치의 건축이 유행하였다. 그리스 신전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엔태블로처였고 이는 도리아식, 이오니아식 및 코린트식으로 구별된다.
'미술 > 서양미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사시대] 아프리카의 미술 (0) | 2023.07.31 |
---|---|
[선사시대] 로마 미술 (0) | 2023.07.17 |
[선사시대] 이집트 미술 (0) | 2023.07.10 |
[선사시대] 메소포타미아 미술 (0) | 2023.07.02 |
선사 미술 (0) | 2023.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