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서양미술사25

[중세미술] 로마네스크 미술 로마네스크는 10세기부터 12세기경까지를 지칭하는 것으로, 11세기에서 12세기 초에 걸쳐 그 전성기를 이루었다. 원래 건축사상의 용어였던 로마네스크는 두꺼운 석조의 벽체, 아치, 돔을 가진 건축에 끼친 고대 로마의 영향을 많이 받아 로마풍의 로마네스크라는 호칭을 붙였으나, 그 후 개념의 변화로 고대 로마 전통을 가미하고 에스파냐를 거치며 전해진 사라센 양식이나, 활발해진 수도원 상호 간의 교류, 성지 순례, 십자군 등을 통하여 전래된 동방 여러 지역의 카톡링거 양식, 비잔틴 야식 등이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다져진 중세 중기의 양식을 가리키게 되었다. 관범위에 걸친 프랑크 제국이 분열괴고, 노르만인, 사라센인 등의 거듭되는 침입으로 서유럽에 혼란과 공백이 계속되는 사이에 각지의 봉건 제후들은 세력을 늘.. 2023. 8. 2.
[중세시대] 고딕 미술 로마네스크 미술에 이어 12세기 말 북부 프랑스에서 시작한 중세 미술 운동으로, 고딕 건축이 발달하면서 함께 발달했다. 프랑스에서 처음 시작된 이래로 서유럽 전반과 알프스 북부에 널리 퍼졌으며, 중세 유럽을 대표하는 미술 양식 중 하나이다. 15세기경까지 계속되어 르네상스로 이어졌다. 고딕의 어원은 번족인 고트에서 나오며 이후 야만적인 의미로 변하였는데 중세미술을 야만적인 것으로 지칭하던 르네상스 시대에 이러한 중세 미술을 고딕이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이 이의 기원이었다. 중세 후기를 대신하는 고유명사이기도 하다. 고딕 건축 중세 유럽의 성당은 신의 집이자 모든 생활과 문화의 중심지로 첨탑으로 인해 수직선이 강조되어 나타나는 특징을 보이며, 가냘픈 기둥과 넓은 찬을 가진 내부는 신비로운 장엄한 분위기를 자.. 2023. 8. 1.
[중세미술] 중세의 시작과 비잔틴 비잔틴의 미술은 고대 로마가 둘로 분열된 후 점차 쇠퇴하고 있던 서로마 중심의 라틴 미술에 대해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급속한 발달을 보았다. 콘스탄티누스는 기독교 용인령을 공포하여 비잔틴의 미술은 이미 그 출발점부터 왕궁의 지지를 받은 기독교 미술로 장대함과 호화로움을 특징으로 한다. 지리적으로 비잔틴왕국은 기독교의 원천이 된 유대교의 신앙 지역이나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등의 그리스 문명의 유산을 보존하는 헬레니즘 문명의 중심지나 동로마제국을 자주 위협하는 사산 왕조의 페르시아 등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 위치였다. 이렇듯 인적해 있는 다른 문명이 비잔틴제국의 전사를 이룬 로마적 지중해 문명와 더해져 동방적 요소와 라틴적 요소를 포함하면서 헬레니즘의 정서를 더한 새로운 국면의 형태로 전개되었다. 6세기.. 2023. 7. 31.
[선사시대] 아프리카의 미술 아프리카 미술은 북아메리카의 인디언이나 원주민의 미술과 함께 원시사회 미술의 백미라고 할 수 있다. 아프리카는 문명의 영향을 받은 일이 거의 없고 그들만의 폐쇄적인 사회에서 발전시킨 독자적인 문화였기 때문이다. 아프리카에는 수많은 종족이 있으며, 그들 각기의 특징과 문화를 갖춘 미술을 만들고 있다. 다른 종족은 왕국을 형성하였으나 그의 옆에는 국가적인 조직을 형성하지 못한 종족이 살고 있는 등 그 나름의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정치적인 특색은 미술, 문화에도 반영된다. 17세기에 서아프리카에서 성립한 다호메 왕국은 군주국가였으며 국정 직속의 미술가가 있고 일반적인 국민들과는 거리가 있는 세습제를 채택하여 왕족들끼리의 특수 집단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왕의 권위나 영광을 칭송하는 작품을 만들어내는.. 2023. 7. 31.